2025년 폴스타4 전기차 보조금, 최대 1,100만원…실구매가 지역별 ‘격차’
정부와 지자체의 전기차 보조금이 달라지며 2025년형 폴스타4의 실구매가에 큰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서울과 대구, 전남, 경남 등 지역별 보조금 액수 차이가 최대 1,000만원 이상 벌어지는 가운데, 일부 지역에서는 테슬라보다도 저렴하게 폴스타4를 구매할 수 있는 상황이다.
전기차 보조금의 이중 구조…국고 + 지자체 지원금
2025년 폴스타4 구매자에게 제공되는 보조금은 크게 국고 보조금과 지자체 보조금으로 구성된다. 국고 보조금은 중앙정부에서 지원하며, 차량의 주행거리, 에너지 효율성, 차량 가격 등의 기준에 따라 산정된다.
지자체 보조금은 해당 지역의 예산과 정책 방향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며, 지역별로 최대 1,000만원 이상의 차이를 보인다. 예를 들어 서울에서는 60만 원 수준에 불과하지만, 경상북도나 전라남도 일부 지역에서는 최대 1,100만 원까지 지원된다.
트림별 국고 보조금, 최대 224만 원
2025년 폴스타4의 국고 보조금은 차량 트림에 따라 다음과 같이 차등 지급된다.
- 롱레인지 싱글 모터: 181만 원 또는 224만 원
- 롱레인지 듀얼 모터: 141만 원 또는 153만 원
이는 차량의 전기 소비 효율 및 주행거리, 그리고 차량 가격을 기준으로 한 평가에 따른 결과다. 듀얼 모터의 경우 고성능과 사륜구동 시스템 탑재로 인해 국고 보조금이 상대적으로 낮다.
지자체 보조금, 최대 1,140만 원…“어디 사느냐가 실구매가 좌우”
지자체 보조금은 지역 예산 상황에 따라 극명한 차이를 보인다. 특히 지방의 경우 전기차 인프라 확충과 친환경 정책 유도를 위해 서울보다 훨씬 높은 보조금을 제공하고 있다.
지역 | 지자체 보조금 |
서울특별시 | 15만 ~ 60만 원 |
부산광역시 | 250만 ~ 280만 원 |
대구광역시 | 최대 500만 원 |
전라남도 | 최대 850만 원 |
경상북도 | 최대 1,100만 원 |
경상남도 | 최대 1,140만 원 |
전라북도 | 최대 700만 원 |
충청남도 | 700만 원 |
특히 경남 의령군과 경북 일부 군 단위 지역은 보조금이 1,000만 원을 훌쩍 넘는 경우도 있어, 전기차 구매자들이 이사까지 고려할 정도다.
지역에 따라 달라지는 실구매가…서울보다 대구가 500만 원 저렴
보조금 총액이 달라지면서 폴스타4의 실구매가 역시 크게 달라진다.
- 서울: 약 6,394만 원 (롱레인지 싱글 모터 기준)
- 부산: 약 6,338만 원
- 대구: 5,900만 원대 예상
- 전남 영광군: 6,200만 원대 초반
같은 차량이라도 거주지에 따라 500만 원 이상 차이가 나는 셈이다. 이 같은 가격 차이는 구매자들의 구매 결정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폴스타코리아, 추가 혜택으로 구매 부담 완화
폴스타코리아는 2025년형 폴스타4 구매자를 위한 추가 지원책도 마련했다.
- 2025 올해의 차 및 디자인 수상 기념 혜택: 100만 원 추가 지원
- 지자체 보조금 소진 시 보전 지원: 최대 603만 원까지 자체 지원
- 출고 대기 고객 보상: 2024년 8월 이후 계약자 대상 추가 보상
- 충전 혜택: 롱레인지 싱글 모터는 30만 원, 듀얼 모터는 100만 원 상당의 TMAP EV 충전 포인트 지급
이로 인해 보조금 수령 조건이 충족되지 않거나 지자체 예산이 조기 소진된 경우에도 실질적인 혜택을 놓치지 않도록 설계됐다.
신청 방법: 제조사가 대행, 빠른 접수 필수
전기차 보조금 신청은 구매자가 직접 하지 않아도 된다. 차량 구매 계약 후 제조사 또는 수입사가 보조금 신청을 대행하며, 이후 지자체가 심사를 통해 지원 대상자를 선정하는 구조다.
신청 절차는 다음과 같다:
- 차량 구매 계약 체결
- 제조사에서 보조금 신청 대행
- 지자체에서 대상자 선정
- 차량 출고 및 등록
- 보조금 정산 및 지급
보조금은 선착순 또는 추첨제로 운영되므로, 가능한 한 빠르게 계약 및 접수를 마치는 것이 유리하다.
전기차 보조금 정책, 2025년 이렇게 바뀐다
2025년부터는 전기차 보조금 정책도 변화가 생겼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고가 전기차 보조금 축소: 고가 차량의 보조금은 줄고, 저가 차량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보조금이 배분된다.
- 성능 중심 평가 강화: 주행거리, 충전 속도, 배터리 안정성 등의 요소가 더욱 중요해진다.
- 청년층, 다자녀 가구 우대: 생애 최초 전기차 구매 청년과 다자녀 가구에는 추가 보조금이 제공된다.
- 보조금 신청 간소화: 제조사 중심 신청 시스템으로 통합
이 같은 정책 변화는 전기차 시장의 형평성과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방향으로 평가된다.
전문가 의견: “지역 간 형평성 고민해야”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보조금이 지역에 따라 1,000만 원 이상 차이 나는 것은 결국 소비자의 구매력과 선택권에 영향을 준다”며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함께 보조금의 형평성을 고려한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폴스타4는 디자인과 주행 성능 면에서 경쟁력 있는 차량이지만, 소비자들이 지역 조건에 따라 차량 선택을 달리하는 상황은 장기적으로 시장 왜곡을 초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결론: ‘어디서 사느냐’가 가성비 좌우…지자체 공고 꼼꼼히 확인해야
2025년 폴스타4 구매를 고려하고 있다면, 국고 보조금뿐만 아니라 지자체 보조금까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같은 차량이라도 거주 지역에 따라 실구매가가 수백만 원까지 달라지는 상황에서, 정보의 차이가 곧 ‘돈’의 차이가 된다.
특히 경남·전남·충청 지역 거주자는 비교적 높은 보조금을 받을 수 있는 만큼 이사나 차량 등록지를 고려하는 소비자들도 늘고 있다.
정부는 친환경차 보급 확대를 위한 다양한 지원을 계속 확대하고 있으며, 구매 전 최신 공고문 확인과 빠른 신청이 필수다.
📌 전기차 보조금 관련 정보 확인처:
- 무공해차 통합누리집 (https://ev.or.kr)
- 각 지자체 환경과 또는 교통과
- 폴스타코리아 공식 홈페이지 (https://www.polestar.com/kr/)
필요하시면 이 기사 내용으로 썸네일 문구, 요약 카드뉴스, SNS용 인포그래픽도 제작해 드릴 수 있어요. 원하시나요? 😊